하루는 내 동생과 한 이불 속에서 밤이 새도록 수다를 떨었다.
당시 그녀는 고3이었고 나는 스물일곱, 8살 터울이었지만
우리는 서로의 나이차이에 대해서 심각하게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수학 성적이 좋아서 이과를 선택한 수현이는 고3이 되었지만 한달인가 지나서
갑자기 사진을 공부하고 싶다고 부모님 속을 엄청 썩이고 결국
사진기를 손에 쥔지 4개월 정도 지났을 때였다.
"중앙대에 가고 싶어, 언니, 근데 사진과는 서울캠퍼스가 아니고
지방에 있어서 집에서 통학하기 쉽지 않을텐데 어쩌지?"
"그럼 나랑 둘이 따로 나와서 살자. 언니가 얼른 앨범내고
돈 벌고 차 뽑아서 데려다줄게."
"내가 언니랑 따로 산다고 하면 엄마가 퍽이나 좋아하겠다."
"걱정마. 너 사진 공부 하는 것도 내가 우겨서 허락 받은 건데..
어디쯤에 집을 구하면 내가 학교 다니기에도 내가 홍대 가기에도 편할까?"
다음날 동생은 청량리역으로 사진을 찍으러 다녀오겠다고 말했고
난 만원인가를 쥐어주었던 것 같다.
그리고 그날 저녁, 그녀는 청량리역에서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그녀는 내게 꼭 필요한 존재였다. 내가 계란 흰자를 좋아하고
그녀는 계란 노른자를 좋아했기 때문일지도.
아니면 나는 닭가슴살을, 그녀는 닭다리를 좋아해서 치킨을 한 마리
시켜도 사이좋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물론 "엄마가 밥 먹으래"라는 한마디가 하루 중 우리의 유일한
대화일 때도 많았고 내 옷을 말 없이 가져가는 것에 미칠듯이
분노하여 엄마가 내 동생을 혼내는 날엔 나 역시 엄마편을
주로 들곤했지만 나에게는 역시 내 동생 뿐이었다.
청량리역에서 사진을 찍던 동생은 이유없이 포크레인에 깔려 즉사했다.
병원에는 경찰도 오고, 포크레인 회사 사람, 철도청 사람, 방송국 신문 기자들이 왔다.
3일이면 충분한 장례식장에 11일을 머물렀다. 너무나 힘들었다.
하지만 나를 가장 많이 괴롭혔던 것은 엄마가 했던 말이었다.
"사진공부를 시키지 않았다면 수현이는 죽지 않았을거야."
밤이 오면 옥상에 올라가 많은 것을 생각했다.
그녀가 죽기 바로 전 날, 새벽까지 우리가 그렸던 내일이
난 견딜 수 없이 고통스러웠다.
그녀는 무슨 일이 있어도 중앙대에 갈 수 없고, 사당 근처에서 같이 살 수도 없고,
내가 돈을 벌고 차를 뽑아도 그녀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었다.
집에 돌아와 우리는 새로운 삶을 살아야했다.
엄마는 매일 아침 밥을 지어야 했고, 아빠는 매일 아침 출근을 했다.
나는 바로 제주도에서 공연이 생겨 웃는 얼굴로 <바나나 파티>를 불러야 했다.
또 다른 고통의 시작이었다. 나는 계속 '내일'에 대해 생각했다.
누군가 내게 "내일은 뭐해?" 하고 물어보면 "내일? 내가 어떻게 알아
바로 죽어버릴 수도 있는데"하고 이야기했다.
동생을 잃고 나서 얼마간 이후 말할 수 없는 비관론자가 되었다.
죽음은 이제 더 이상 나에게 쪼글쪼글 할매가 되어서야 맞게 되는 일이 아니었다.
바로 코앞에서 나를 언제나 마주하고 있었기 때문에,
별로 두렵지도 않았고, 늘 내일 죽을 사람처럼 굴었다.
수중에 있는 돈은 그냥 다 써버렸고, 살찔까봐 조심스러웠던 식성도 과격해졌다.
술도 퍼마시고 담배도 피워댔다. 그렇지만 나는 생각하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
'내일'이라는 것을 동생 뿐이었던 내게 아무렇지 않게 그녀를 홀랑 데려가 버렸던
신의 의도를 죽기 전에 우리가 보낸 새벽을,
그녀의 죽음을, 사진이 아니었다면 그녀는 죽지 않았을 거라는 엄마의 절규를.
그녀의 죽음을 통해 나는 무언가를 깨달아야 했고, 그걸로 내 삶이 변화해야 했다.
깨닫지 않고서는 그녀의 죽음을 인정할 수가 없었다.
일년 반 정도가 지났다.
그리고 나는 조금씩, 아주 조금씩, 내 동생의 죽음의 교휸을 알아내었다.
그 교훈은 민망할 정도로 너무나 당연해 모두가 간과하고 있던 시시한 진실.
그것은 바로 '빛나는 오늘의 발견'이고 '빛나는 오늘의 나'였다.
아무것도 아니지만 내가 내 동생을 잃고서야 이해할 수 있었던 것.
오늘에 충실하는 것. 이것이 여러분들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다.
나는 여러분이 내일을 위해서 오늘을 고문하지 않았으면 한다.
나는 여러분이 오늘 먹고 싶은 음식을 먹기를 바라고,
너무 입고 싶어 눈에 밟히는 그 옷을 꼭 사기를 바란다.
나는 여러분이 100만 원을 벌면 80만 원을 저금하지 않고 50만 원만
저금하기를 바란다. 그래서 사고 싶은 옷을 참고 먹고 싶은 음식을 참으며
만나고 싶은 사람을 다음으로 미루는 당신의 오늘에 다 써버리기를 바란다.
이 사진이 사람들의 호응을 살지, 이 그림이 얼마나 비싸게 팔릴지
당신의 연기를 사람들이 좋게 봐줄지를 고민하기보다 그저 당신이 원해왔던
행위를 하고 있는 바로 지금 이 순간 당신의 행복을 더 우선시했으면 한다.
내일 죽어도 좋다고 말할 수 있을 만큼, 당신의 오늘이 완성되었으면 좋겠다.
나는 오늘 노래하는 것이 너무나 행복하고, 오늘 수중에 돈이 없을 때면
맛있는 라면을 먹고 돈이 많을 때 내가 좋아하는 봉골레 스파게티를 먹는 게 행복하다.
나는 내가 글을 쓰는 2009년 5월 22일 뮤지션으로 살아있는 것이
너무 감사하고 행복하다.
"사진 공부를 시키지 않았다면 수현이는 죽지 않았을거야" 하고 이야기했던 엄마는
조금 틀린 것 같다. 수현이는 그 날, 행복했을 것이다. 그렇게 원했던 사진을
그 날도 찍을 수 있어서, 찍고 싶었던 청량리역을 찍고 있어서, 내가 쥐어준 만 원으로
맛있는 밥을 먹어서 행복했을 것이다.
얼마전 차안에서 그냥 틀어놓은 라디오에서 스피노자가
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나는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말을 인용하는 것을 듣고 나는 엉엉 울었다.
이제야 이 말을 이해할 수 있게 된 것에 감사하며 흘린 눈물이었다.
나는 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내일 모레 공연을 위해 오늘 합주를 할 것이다.
여러분도 그렇게 해주길 바란다. 나는 당신의 오늘이 행복하길 바란다.
당신의 내일같은 건 관심도 없다.
'시&이야기 > 이야기&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천득_내가 사랑하는 생활 (0) | 2025.04.09 |
---|